############################# # 하드추가와 파티션 나누기 # 2005. 5. 11 이황배 # kosthb@gmail.com ############################# [root@112s /]# fdisk /dev/sdc ==> 세번째 하드 추가/파티션나누기 The number of cylinders for this disk is set to 4462.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but this is larger than 1024, and could in certain setups cause problems with: 1) software that runs at boot time (e.g., old versions of LILO) 2) booting and partitioning software from other OSs (e.g., DOS FDISK, OS/2 FDISK) Command (m for help): p ==> 하드 상태를 본다 "p" 엔터 isk /dev/sdc: 255 heads, 63 sectors, 4462 cylinders Unit
############################# # 하드추가와 파티션 나누기 # 2005. 5. 11 이황배 # kosthb@gmail.com ############################# [root@112s /]# fdisk /dev/sdc ==> 세번째 하드 추가/파티션나누기 The number of cylinders for this disk is set to 4462. There is nothing wrong with that, but this is larger than 1024, and could in certain setups cause problems with: 1) software that runs at boot time (e.g., old versions of LILO) 2) booting and partitioning software from other OSs (e.g., DOS FDISK, OS/2 FDISK) Command (m for help): p ==> 하드 상태를 본다 "p" 엔터 isk /dev/sdc: 255 heads, 63 sectors, 4462 cylinders Unit
## GD 라이브러리 설치 cd /usr/local 1. gd 파일을 다운받는다. 2. 압축을 해제한다. 3. 압축 해제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LIBS="-lpthread" LDFLAGS="-lpthread" C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XXFLAGS="-O3 -funroll-loops -mcpu=i686 -march=i686 -fomit-frame-pointer" ./configure --prefix=/usr/local/gd make make install
# 하위 디렉토리까지 전부 변경된다. perl -p -i -e 's/변경될문자열/변경할문자열/g' 파일명
사용자 홈디렉토리에 .vimrc 파일을 연다. syntax on set background=dark set tabstop=4 <=== 이 부분을 원하는 글자수로 수정한다. .vimrc파일이 없는경우 홈디렉토리에 .vimrc파일을 새로 생성하면 된다. syntax on set background=dark set tabstop=4 위와같이 추가하면 된다.
configure에 --with-jpeg --with-png가 있으면 관련 라이브러리를 찾습니다. 그러나 lib64를 사용하는 경우 관련 라이브러리가 /usr/lib가 아니라 /usr/lib64에 있게 되어 찾지를 못한다. make시에 에러 남 가장 간단한 해결책은 configure시에 위치를 아래와 같이 지정하고 --with-jpeg-dir=/usr/lib64 --with-png-dir=/usr/lib64 /usr/lib64에서 아래의 명령으로 심볼링크를 걸어두면 된다 /usr/lib64]# ln -s /usr/lib64 lib /usr/lib64]# ln -s /usr/include include
우리가 압축파일을 풀 때 디렉토리가 생길 지 알고 풀었더니 디렉토리가 생기지 않고 파일들이 모두 풀려서 황당한 경우가 있었을 겁니다. 이때 일일이 삭제를 해야하는 데 번거로울 때가 있습니다. 아래는 이때 사용하실 수 있는 유용한 팁입니다. 1. tar로 묶여있는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f 문제화일.tar|awk {'print $6'}` 여기서 주의할 점으로 처음과 끝에 있는 `는 물결무늬에 있는 것이고. 그리고 가운데 있는 '는 작은 따옴표입니다. 주의하시길... 2. tar.gz 혹은 tgz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zf 문제화일.tar|awk {'print $6'}` 3. bzip2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lf 문제화일.tar|awk {'print $6'}` 이렇게 해주시면 잘못 풀린 것들이 제거가 될 것입니다.
chattr, lsattr 루트도 지우지 못하는 파일을 설정한다. chattr [옵션] [+=-속성] [파일명] [옵션] -V: 파일속성을 바꾼 다음에 보여줌 -R: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바꿈 [속성] a: 파일을 추가모드로만 열수 있다. 단, vi편집기로는 내용을 추가 할 수 없다. c: 압축되어 있는 상태로 저장함 d: dump명령을 통하여 백업받을 경우 백업받지 않음. i : 파일을 read-olny로만 열 수 있게 설정한다. 링크도 허용하지 않고 루트만이 이 속성를 제거할 수 있다. 속성를 추가 할때는 "+속성" 속성를 제거할 때는 "-속성" "=속성"를 사용할 경우 현재의 속성는 제거되고 오직 "=속성"로 설정된 속성만 적용된다. * lsattr 이라는 명령으로 파일의 chattr 속성를 확인할 수 있다. ---------------------------------------------------------------------- 예) file1에 i 속성를 추가할 때 chatr +i file1 예) 파일의 chattr 속성 확인 [root@ezvil log]# lsattr messages -----a------- messages 예) a 속
#passwd -l 아이디 "아이디" 사용자는 패스워드에 락이 걸림으로써 어떠한 패스워드로도 인증을 받을 수 없다. FTP, SSH, TELNET은 접속이 불가능. 단, 웹과 DB는 정상적으로 운영된다. 해제하기 #passwd -u 아이디
서버에 문제가 생겨 일반 사용자들의 접속을 못하도록 조치할때 유용 일반사용자 서버접속 금지하기 #/etc/nologin 파일을 생성한다. 파일이 생성된 이후부터는 일반사용자는 서버에 접속하질 못한다. 단순히 파일이 있는것 자체만으로 접속을 못하게된다. nologin 파일에는 서버점검중임을 적어두면 일반 사용자가 접속할때 nologin 파일안의 내용이 뿌려지게 된다. 단, root만은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로 로긴한 후 root로 접속한다면 일반사용자로 접속을 하지 못하기때문에 서버에 접속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root로만 접속이 가능함을 명심하기바란다.
배드블록 검사하기 # badblocks -s /dev/sda3 이렇게하면 결과값을 바로 화면에 뿌려준다. 배드블록을 검사하여 지정한 파일로 결과값 저장하기 # badblocks -v -o badblock.txt /dev/sda3 이렇게하면 결과값을 badblock.txt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o 옵션을 주게 되면 지정된 파일에 결과를 저장한다
# 한대의 리눅스에서 여러개의 IP주소 할당하여 사용하기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을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0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1 과 같은 방식으로 복사한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1 파일을 수정하는데 DEVICE=eth0:1로 수정하고 IPADDR=설정하려던 아이피로 수정한다. 네트워크를 재시작하면 완료. 두개, 세개의 아이피를 동시에 사용하려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추가하면 되겠다. 추가한 아이피를 삭제할 경우엔 해당 이더넷을 다운시키면 된다. ifconfig eth0:0 down 으로 삭제할 수 있다.
## ethtool을 이용한 랜카드 속도설정 및 전송모드 설정하기 # 랜카드 설정상태 확인하기 ethtool eth0 # 이더넷 설정내역 -Supported link modes : 지원가능한 링크모드(속도와 전송모드) -Supports auto-negotiation : 자동협상인식기능 지원여부. 지원하고 있느냐의 여부는 아래에 있는 Auto-negotiation의 값으로 결정된다. -Speed : 현재 이 이더넷의 설정속도 -Duplex : 현재 이 이더넷의 전송모드(half는 반이중모드) -Auto-negotiation : 자동협상인식 기능을 지원하고 있을때에 실제로 자동협상에 의해 이더넷 설정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 변경하기 ethtool -s eth0 [speed 10|100|1000] [duplex half|full] [autoneg on|off] ethtool -s eth0 speed 10 duplex full autoneg on 리눅스서버에 있는 모든 이더넷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설정이 가능하다
# tcpdump -q ( dst net 1.2.3.0/24 or 1.2.4.0/25 ) and dst port 80 목적지 주소가 1.2.3.x/24 와 1.2.4.x/25 이고 80번포트인 패킷 캡쳐 # tcpdump host A A 호스트로/부터의 모든 도착/출발 패킷 출력 # tcpdump host A and ( B or C ) A 호스트와 B 또는 C 사이의 모든 트래픽 출력 # tcpdump ip host A and not B A호스트와 B를 제외한 호스트 간의 모든 IP 패킷 출력 # tcpdump net ucb-ether 로컬호스트와 Berkeley의 호스트들 간의 모든 트래픽 출력 # tcpdump 'gateway A and (port ftp or ftp-data)' 게이트웨이 A를 통한 모든 ftp 트래픽 출력 # tcpdump ip and not net <localnet> 로컬네트워크로/부터가 아닌 모든 트래픽 출력 # tcpdump 'tcp[13] & 3 != 0 and not src and dst net <localnet>' 로컬네트워크가 아닌 TCP 시작과 마지막 패킷 출력 # tcpdump 'ga
두개, 세개의 아이피를 동시에 사용하려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계속 추가하면 되겠다. 추가한 아이피를 삭제할 경우엔 해당 이더넷을 다운시키면 된다. ifconfig eth0:0 down 으로 삭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