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천생연분 직장을 찾아라.진정 자기가 좋아하고 잘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 보고 직업 선택을 해야 한다. 미래는 고소득 직종이라는 말이 사라지고 어느 분야에서든 전문성과 차별성을 가진 사람이 살아남는 시대가 올 것이다.2. 맞춤형 전략을 갖자.인생이라는 그라운드를 뛰고 있는 우리에겐 자신의 일에서 성공을 쟁취하기 위한 꼼꼼한 전략이 필요하다. 주의해야 할 점은 남이 하는대로 무조건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먼저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3. 같은 꿈을 꾸는 사람들과 자주 만나라.20대는 많은 부류의 사람들과 어울릴 수 있는 시기다. 이때 자신과 같은 꿈을 갖고 있는 사람들과 만나는 게 중요하다. 정보를 함께 공유하고 꿈을 이루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도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다.4. 외국어 공부하는 비법을 터득하라.글로벌 시대, 영어 공부의 중요성은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다. 영어공부는 치열한 생존수단이다. 영어 잘하는 것 하나만으로 더 좋은 조건의 직장을 찾을 수가 있고 몸값을 두 배로 받는 세상이다. 영어 실력은 부를 끌어 오는 적극적인 수단이다.5. 역할 모델을 따라해라.목표를 갖게 되었으면 목표를 이룬 사람을
## ethtool을 이용한 랜카드 속도설정 및 전송모드 설정하기 # 랜카드 설정상태 확인하기 [root@root]#ethtool eth0 # 이더넷 설정내역 -Supported link modes : 지원가능한 링크모드(속도와 전송모드) -Supports auto-negotiation : 자동협상인식기능 지원여부. 지원하고 있느냐의 여부는 아래에 있는 Auto-negotiation의 값으로 결정된다. -Speed : 현재 이 이더넷의 설정속도 -Duplex : 현재 이 이더넷의 전송모드(half는 반이중모드) -Auto-negotiation : 자동협상인식 기능을 지원하고 있을때에 실제로 자동협상에 의해 이더넷 설정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 # 변경하기 [root@root]#ethtool -s eth0 [speed 10|100|1000] [duplex half|full] [autoneg on|off] 리눅스서버에 있는 모든 이더넷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재설정이 가능하다
http://www.linux-vs.org/whatis.html lvs에 대해서 자세히 나와있음. lvs설치시 필히 참고하기
## arp arp 명령어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써, arp cache에 있는 IP 어드레스에 대한 HW 어드레스(대게 MAC 어드레스란 표현을 많이 사용한다)를 돌려주는 명령어이다. 이 HW 어드레스는 6 바이트로 구성되어지는데, 처음 3 바이트는 제조 벤더에 대한 교유 번호이고, 나머지 3개는 제품 일련 번호라고 한다. 결국 이 6개의 바이트는 전세계에서 유일무이한 번호가 되는데, 논리적인 IP어드레를 물리적이고 고유한 컴퓨터에 맵핑시키기 위해서는 아주 중요한 존재이다. 명령어 형식 : arp [OPTION] 옵션 -e : arp 캐쉬에 있는 HW어드레스를 리눅스 스타일로 표히 -s host HW어드레스 : arp 캐쉬에 새로운 HW어드레스를 저장 -d : arp 캐쉬에 HW어드레스를 삭제 실행 예 [root@linux root]# arp -e Address HWtype HWaddress Flags Mask Iface 192.168.10.1 ether 00:0E:E8:04:45:77 C eth0 192.168.10.21 ether 00:
chattr, lsattr 루트도 지우지 못하는 파일을 설정한다. chattr [옵션] [+=-속성] [파일명] [옵션] -V: 파일속성을 바꾼 다음에 보여줌 -R: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바꿈 [속성] a: 파일을 추가모드로만 열수 있다. 단, vi편집기로는 내용을 추가 할 수 없다. c: 압축되어 있는 상태로 저장함 d: dump명령을 통하여 백업받을 경우 백업받지 않음. i : 파일을 read-olny로만 열 수 있게 설정한다. 링크도 허용하지 않고 루트만이 이 속성를 제거할 수 있다. 속성를 추가 할때는 "+속성" 속성를 제거할 때는 "-속성" "=속성"를 사용할 경우 현재의 속성는 제거되고 오직 "=속성"로 설정된 속성만 적용된다. * lsattr 이라는 명령으로 파일의 chattr 속성를 확인할 수 있다. ---------------------------------------------------------------------- 예) file1에 i 속성를 추가할 때 chattr +i file1 예) 파일의 chattr 속성 확인 [root@ezvil log]# lsattr messages -----a------- messages 예) a
# cpio 파일 압축풀기 cpio -idmv < file.cpio [옵션] -i : cpio로 백업한 data를 restore 한다 -d : restore중 필요한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생성시킨다. -m : 백업 되있는 data들의 날짜, 시간을 그대로 유지한다. -v : verbose
# 하드디스크 카피 dd if=/dev/sda of=/dev/sdb
## fsck, e2fsck(파일 시스템 점검) # 사용법 fsck [-t 파일시스템유형] 장치명 Usage: fsck.ext3 [-panyrcdfvstDFSV] [-b superblock] [-B blocksize] [-I inode_buffer_blocks] [-P process_inode_size] [-l|-L bad_blocks_file] [-C fd] [-j ext-journal] [-E extended-options] device # 옵션 -p Automatic repair (no questions) -n Make no changes to the filesystem -y Assume "yes" to all questions -c Check for bad blocks and add them to the badblock list -f Force checking even if filesystem is marked clean -v Be verbose -b superblock Use alternative super
리눅스는 런레벨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런레벨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서비스가 시작된다. 0: 시스템 정지(예약영역) 1: 단일 사용자 모드(예약영역) 2: NFS를 사용하지 않는 다중 사용자 모드 3: 완전한 다중사용자 모드 4: 사용하지 않음 5: 완전한 다중 사용자모드 + X11(xdm) 로그인 6: 시스템 리부팅(예약영역) S,s: 런레벨을 1로 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립트-직접 사용하지 않음 7-9: 유효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런레벨은 init 에 의해 제어되며, init는 커널 부트 시퀀스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작된다. 디폴트 런레벨은 /etc/inittab 파일 안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 되어 있다. id:3:initdefault:
EXT3-fs error (device sda2) in start_transaction: Journal has aborted EXT3-fs error (device sda2) in start_transaction: Journal has aborted 위와같은 에러 메시지가 발생되면서 특정 파티션이나 혹은 모든 파티션이 읽기모드로(Read Only mode) 변경된다. 이러면서 업데이트가 불가능해지는데... 원인은 아래와 같다. 1. 파워 불량 2. 일시적인 전원 불량 3. 비정상적인 서버 종료 InstructionsThings You'll Need:A linux Rescue CD, like SysRescueCD or a bootable OS from CD or disk, like Tomcat. Step 1Reboot the server, and watch for the moment when it asks you to push "Y" to start a filesystem check, and let it cleanup the system. If you never get the opportunity to do the "Y" selection because it
EXT3-fs error (device sda2) ext3_journal_start_sb : Detected aborted journal EXT3-fs error (device sda2) ext3_journal_start_sb : Detected aborted journal EXT3-fs error (device sda2) ext3_journal_start_sb : Detected aborted journal 에러가 발생하면 읽기모드로 변경되면서 더이상 업데이트가 안된다. 해결방법 1. 해당장치를 unmount 2. debugfs -w -R "feature ^has_journal,^needs_recovery" /dev/장치명 파티션을 ext2모드로 바꾸어 줍니다. 3. fsck -y /dev/장치명 점검 4. tune2fs -j /dev/장치명 저널링을 활성화 5. mount
vi 에서 여러줄 주석 설정 및 해제하기 # 주석 설정하기 - v로 비주얼 블럭 선택 - :norm i주석 예) :norm i// (주석 // 이 추가된다) 예) :norm i# (주석 # 이 추가된다) # 주석 해제하기 - v로 비주얼 블럭 선택 - :norm x주석
ftp 기본 함수 list ftp_alloc / ftp_cdup / ftp_chdir / ftp_chmod / ftp_close / ftp_connect / ftp_delete ftp_exec / ftp_fget/ ftp_fput / ftp_get_option / ftp_get / ftp_login / ftp_mdtm ftp_mkdir / ftp_nb_continue / ftp_nb_fget / ftp_nb_fput / ftp_nb_get / ftp_nb_put ftp_nlist / ftp_pasv / ftp_put / ftp_pwd / ftp_quit / ftp_raw / ftp_rawlist /ftp_rename ftp_rmdir / ftp_set_option / ftp_site / ftp_size / ftp_ssl_connect / ftp_systype
# PHP 실행시간 늘리기 php에서 실행시간을 늘리고자 할 경우 php.ini을 수정하여 늘릴 수 있다. max_execution_time = 30 기본값은 30초이다. 이 값을 수정하고 웹서버를 재시작해주면 되겠다. 다른 방법은 set_time_limit()함수를 이용하여 실행 시간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참고 set_time_limit()는 PHP가 안전 모드일 때는 작동하지 않는다.
한글로 된 URL을 정상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mod_url.c의 설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실행되고 있는 httpd 프로세스를 확인하여 DSO(Dynamic Shared Object)가 사용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다운 로드 : http://kle.kldp.org/apache/mod_url.c http://kle.kldp.org/apache/readme.mod_url 1. DSO 확인 =========== # httpd -l (in debian) Compiled-in modules: http_core.c mod_so.c mod_php3.c # /usr/sbin/httpd -l |grep mod_so (in redhat) mod_so.c 여기서 mod_so.c 가 보이면 DSO를 통해 간편하게 mod_url.c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2.1. 컴파일(일반적인 경우 RedHat은 아래 참조) ============================================ 설치는 아파치 확장 툴인 apxs를 이용합니다. #apxs -i -a -c mod_url.c 이렇게 실행하면 됩니다. $ apxs -i -a -c mod_url.c gcc -f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