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 서비스파일의 업로드, 다운로드를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ftp 서버포트는 21번을 사용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통신한다. vsftpd 설치rpm -qa | grep vsftpd : 설치되어있는지 확인yum install vsftpd : yum명령어로 다운로드및 설치.rpm -qa | grep vsftpd : 설치가 잘되어있는지 확인한다. vsftpd 구동하기 /etc/init.d/vsftpd start : 서비스 시작 /etc/init.d/vsftpd stop : 서비스 중지 예root@hosting01:~# rpm -qa | grep vsftp #설치 되어 있는지 확인vsftpd-2.0.5-21.el5 # 기존에 설치 되어있음 root@hosting01:~# rpm -e vsftpd # rpm명령어로 기존 데몬 삭제warning: /etc/vsftpd/vsftpd.conf saved as /etc/vsftpd/vsftpd.conf.rpmsaveroot@hosting01:~# rpm -qa | grep vsftpd # 삭제가 잘되었는지 확인
사용형식 : rpm -q+[옵션] 패키지명모든 패키지 확인 : rpm -qa 어떤 패키지로 설치 됐는지 확인 : rpm -qf /절대경로/파일명 (rpm으로 설치되었을때만 확인됨)패키지로 설치되는 파일들 확인 : rpm -ql 패키지명패키지 상세 정보 : rpm -qi 패키지명패키지로 설치된 파일들 정상여부 검사 : rpm -qs 패키지명패키지의 설정파일들만 확인 : rpm -qc 패키지명메뉴얼파일들 보기 : rpm -qd 패키지명의존성 확인 : rpm -qR 패키지명무결성 검사 : rpm -V 패키지명 (출력되는 파일들은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파일의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내용을 확인 # more 명령어 사용형식 : more [옵션][+줄번호][파일명] [옵션] space bar, f : 한 페이지씩 앞으로 이동 b : 한 페이지씩 뒤로 이동 enter : 한행씩 이동 ! : 쉘명령어 입력 / : 문자열 검색 (대소문자 구분) v : 현재위치에서 vi 실행 + 숫자 : 숫자행부터 출력 # less 명령어 옵션 사용형식 : less [옵션] 파일명 space bar, f : 한 페이지씩 앞으로 이동 b : 한페이지씩 뒤로 이동 enter : 한행씩 이동 방향키 : 한행씩 이동
aging 정보는 /etc/shadow 파일에 설정되는 정보들로써 계정 사용자들의 종료일자, 패스워드 만료일자, 만료기간, 암호변경 최소날짜, 암호 유효 최대날짜 등을 의미 [root@~ ]# chage -l root Last password change : Aug 28, 2013 // -d 옵션Password expires : never // -M 옵션Password inactive : never // -I 옵션Account expires : never // -E 옵션Min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0 // -m 옵션Maximum number of days between password change : 99999 // -M 옵션Number of days of warning before password expires : 7 // -W 옵션 # aging 변경[root@push06 ~]
chmod [옵션][퍼미션][대상 디렉토리 or 파일] 퍼미션 부분에는 000~777까지의 숫자로 권한을 줄수있다. r : 읽기 w : 쓰기 x : 실행 - : 권한없음을 뜻하며 권한은 총 9자리로 구성되어있다. 1~3자리는 소유자, 4~6자리는 그릅, 7~9자리는 그외 기타 사용자의 권한을 나타낸다. chown [소유자 계정].[소유그릅] [대상] 소유자와 소유그릅을 동시에 바꿀수 있다. 예 [root@web /]# cd /home [root@web home]# ll total 32 drwx------ 2 hky hky 4096 Jan 9 05:05 hky drwxr-xr-x 2 root root 4096 Nov 23 05:46 home2 drwx------ 2 root root 16384 Nov 14 05:20 lost+found [root@web home]# chmod 775 hky [root@web home]# ll total 32 drwxrwxr-x 2 hky hky 4096 Jan 9 05:05 hky drwxr-xr-x 2 root root 4096 Nov 23 05:46 home2 drwx------ 2 root root 16384 Nov
틸드~ 경로란홈디렉토리를 의미한다.예를 들어 hky 라는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고 나면 /home 디렉토리 하위에 /hky 라는 사용자의 홈디렉토리가 생성된다. 이때..절대경로는 /home/hky 이다. root계정의 경우, 관리자 계정이므로 홈 디렉토리는 최상위 디렉토리인 "/" 디렉토리 하위에 생성된 "/root"디렉토리 이다. root@mynews25-dev:/home# ll합계 28drwxr-xr-x 5 root root 4096 1월 17 12:37 .drwxr-xr-x 22 root root 4096 1월 16 11:48 ..drwx------ 3 hky hky 4096 1월 17 12:37 hkydrwx------ 3 kosthb kosthb 4096 1월 13 2012 kosthb hky와 kosthb는 각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이다./home/kosthb = ~kosthb/home/hky = ~hky 사용 예root@mynews25-dev:/etc# cd httpd/conf root@mynews25-dev:/etc/httpd/conf# pwd/etc/httpd/conf
[root@ ~]# uptime2:17:14 up 2 days, 13:25, 1 user, load average: 0.03, 0.05, 0.00 현재시각은 2:17:14 up 2days, 13:25 2일 13:25 동안 켜져 있었음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수 1명 0.03, 0.05, 0.00 각각 1분, 5분, 15분 동안의 시스템 평균 부하율
- 예전에는 LILO(Linux Loader)를 사용했지만 요즘은 부트로더로 대부분 GRUB 사용 (SULINUX, CentOS, Redhat, Fedora 등) - GRUB은 윈도우 운영체제와 리눅스 운영체제 등에서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멀티부트로더임 - MBR에 저장됨 *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장 먼저 ROM-BIOS에서 시스템 제어권을 가지고 장착된 하드웨어에 대한 점검과 인식을 함 * 끝나면 ROM-BIOS는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부트섹트의 MBR에 있는 부트로더(GRUB)에게 제어권을 넘겨줌 * 그러면 GRUB은 시스템 부팅을 시작함 < GRUB 초기화면> : 여기서부터 GRUB에 의해 부팅될 OS가 선택되고 시스템제어권이 넘어감 # GRUB 초기화면에서 'c' 키 입력 : GRUB의 명령모드 - 서버가 부팅되지 않을 경우 부팅과정을 변경 또는 편집하기 위해 (bash쉘에서 사용했던 명령어와 유사) - 명령어 모드에서 초기화면으로 돌아가려면 'ESC" 키 # GRUB 초기화면에서 'e' 키 입력 : 부팅메뉴 편집 <부팅메뉴 편집화면> 편집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키 b : 선택된 부트메뉴의 명령어로 시스템을 부팅
새로운 계정이 생성되면 생성되는 계정명과 동일한 이름의 그룹이 자동생성 되고, 자동생성된 그룹에 속하게 된다. groupadd 명령어로 생성되는 그룹은 기본값으로 GID가 500 이상부터 생성된다. (GID 499까지는 시스템용) # 그룹 생성 [root@~ ]# groupadd sgroup # GID를 지정하여 그룹 생성 [root@~ ]# groupadd -g 700 kgroup # /etc/group 파일의 내용에 새로운 그룹이 생성됨 [root@push06 ~]# tail -n 3 /etc/group kbs:x:502: sgroup:x:500: kgroup:x:700: # 시스템용으로 사용할 그룹 생성 [root@push06 ~]# groupadd -r systemgroup [root@push06 ~]# tail -n 2 /etc/group protoss:x:501: systemgroup:x:160: # 그룹 삭제 [root@push06 ~]# groupdel systemgroup
사용자 계정 추가/ 삭제 useradd를 통한 사용자 계정 추가. 1.명령어 형식 useradd [옵션][계정명] passwd [설정할 패스워드] 2.설명 useradd명령어와 passwd 설정으로 사용자 계정이 추가된다. /home 디렉토리 하위에 추가한 계정명의 홈디렉토리가 성생된다. /home/hky 3. radd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중요 파일. /etc/passwd /etc/shadow /etc/group 예) [root@web /]# useradd hky [root@web /]# passwd hky Changing password for user hky. New UNIX password: BAD PASSWORD: it does not contain enough DIFFERENT characters Retype new UNIX password: passwd: all authentication tokens updated successfully. You have new mail in /var/spool/mail/root [root@web /]# cd home [root@web home]# ls -al total 48 drwxr-xr-x 5 root
APM이란 apache , php , mysql의 앞자를 다서 말하는 것으로apache는 브라우져에 연동할수있게 하는 웹서버를 말한다. php는 mysql의 데이터 베이스를 apache에 뿌려주어 사용자가 눈으로 볼수있게 만들어주는 웹프로그래밍 언어다.mysql 은 데이터 베이스를 의미한다. apm을 이용한 웹서버 구축과정configure : 환경 설정을 하는 명령어로 컴파일할때 옵션을 넣거나하여 사용된다make : 소스 파일을 컴파일하는 과정. 컴파일이란 사용자가 소스파일을 실행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과정이다.make install : make 과정에서 컴파일후 생성된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설치하는 과정이다. rpm -qa | grep httpdrpm -qa | grep mysql rpm -qa | grep php 등의 명령어 이용으로 기존에 라이브러리설치되어 있던 apm이 있는지 확인한다.rpm -e 명령으로 기존 apm을 삭제한다. 다운로드 받을 사이트나 다운로드 받고난후 저장할 디렉토리먼저 확인.생성 한다. wget "$DOWN_DIR/httpd-x.x.x.tar.z # 설치할 아파치 소스의 압축파일을 다운로드 한다.tar xvfpz htt
httpd.conf 파일 문법 검사 : apachectl config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