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Jul 23 13:06:46 localhost sendmail[20614]: My unqualified host name (hosting01) unknown; sleeping for retry 해결방법 1sendmail을 이용하여 메일전송을 위해서 완전한 호스트이름을 지정해야 한다. 호스트네임을 완전한 호스트네임으로 변경해준다. 해결방법 2/etc/hosts 파일에서 호스트네임을 localhost.localdomain localhost 와 함께 설정한다.
df 명령어를 사용하여 하드디스크의 사용 정보를 확인할수 있다. 형식 df [옵션] 옵션-h : 용량 단위를 읽기 쉬운 형태로 보여준다.-i : 블럭의 사용 정보 대신 inode 사용 정보를 보여준다. inode란?하드디스크에 기록되는 개별파일의 고유 번호.. 파일을 많이 생성하다 보면 하드디스크 용량은 많이 남아 있지만inode가 모자라서 더이상 파일을 생성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그래서 df명령어의 -i 옵션을 사용해 남은 하드 용량과 inode를 확인한다.
웹호스팅 서비스 서버 구축. 웹호스팅 서비스 : 홈페이지를 만들수 있는 계정을 생성하여 서비스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정에는 아이디, 패스워드 또는 도메인 생성도 포함된다. 순서 1. 리눅스를 설치한다. 2. 각종 환경 설정한다. 3. 각종 라이브러리 설치한다. 4. APM 설치 ------------------------------------------------------------- 웹호스팅 서비스 할수 있는준비 끝 5. 사용자 계정생성 (Document Root를 활용할 디렉토리 생성도 포함) adduser 계정명 passwd 패스워드 cd /home/사용자chmod 710 사용자 chown 사용자계정.nobody 사용자 mkdir www (홈디렉토리 하위에 생성 예: /home/hky/www) 6. 아파치 버츄얼 호스트 설정한다. 가상호스트위치: /opt/webapps/apache2/conf/vhosts.conf 가상호스트 파일 형식 <VirtualHost*> <ServserAdmin 이메일> <Document Root /home/hky/www> <ServerName 도메인 or IP>
DSO(Dynamic Shared Object)방식 특정모듈을 추가로 설치할 때 아파치를 재 컴파일 하지 않고 모듈을 추가 할 수 있다. Static 방식에 비해 응답속도가 느릴 수 있다. 필요할때에만 시스템에 load되었다가 사용이 다하면 unload되므로 시스템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설치 : ./configure --enable-so 확인 : httpd -l | grep mod_so.c 추가모듈 사용 방법 ① module 디렉토리에 모듈파일 넣기 ② 아파치 환경설정에서 모듈지정 ex) LoadModule php5_module(모듈명) modules/libphp5.so(위치) php일때는 AddType지시자 지정 Static방식 특정모듈을 추가로 사용하려면 아파치를 재 컴파일 한다. 아파치를 실행하면 모듈을 사용하든 안하든, 추가된 모든 모듈들이 시스템에 load된다. 응답속도가 DSO방식보다 빠를 수 있다. 시스템 자원을 낭비한다. DSO 방식을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파일시스템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 1. 체인이 끊어짐 → e2fsck 사용 2. check filesystem 문제 → 재부팅 # e2fsck 가 점검하는 실제 항목들 - inodes - blocks - sizes - 디렉토리 구조 - 디렉토리 연결성 - 파일링크 정보 - 전체파일 개수 - 전체블록수중 사용중인 블록 # e2fsck 작업이 종료되면 종료코드 출력 0 - 에러 없이 정상종료 1 - 파일시스템을 복구하였음 2 - 파일시스템이 복구되었고, 시스템 재부팅함 4 - 작업대상 파일시스템에 문제가 있으나 복구하지 않고 그대로 둠 8 - 실행에러 16 - 사용법 또는 문법 에러 32 - e2fsck 작업이 사용자에 의해 취소됨 128 - 공유 라이브러리 에러 # ================================= # ext4 파일시스템 e2fsck -v -j ext4 /dev/sda5 e2fsck 명령어 사용할때는 대상 파일시스템이 마운트 되어 있지 않아야함 -f 옵션을 주면 강제로 진행되나 추천하지 않음 ext4을 대상으로 하려면 -j ext4 옵션을 준다 # ================================= # ext3 파일시
ethtool 랜카드 속도 및 전송모드를 설정한다. [root@push06 ~]# ethtool eth0 Settings for eth0: Supported ports: [ TP ] Support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100baseT/Full 1000baseT/Full Supports auto-negotiation: Yes // 자동협상인식기능 Advertis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100baseT/Full 1000baseT/Full Advertised auto-negotiation: Yes Speed: 1000Mb/s //속도 Duplex: Full //전이중모드 Port: Twisted Pair PHYAD: 2 Transceiver: internal Auto-negotiation: on
우리가 압축파일을 풀 때 디렉토리가 생길 지 알고 풀었더니 디렉토리가 생기지 않고 파일들이 모두 풀려서 황당한 경우가 있었을 겁니다. 이때 일일이 삭제를 해야하는 데 번거로울 때가 있습니다. 아래는 이때 사용하실 수 있는 유용한 팁입니다. 1. tar로 묶여있는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f 문제화일.tar|awk {'print $6'}` 여기서 주의할 점으로 처음과 끝에 있는 `는 물결무늬에 있는 것이고. 그리고 가운데 있는 '는 작은 따옴표입니다. 주의하시길... 2. tar.gz 혹은 tgz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zf 문제화일.tar|awk {'print $6'}` 3. bzip2 파일일 경우... # rm -rf `tar -tvlf 문제화일.tar|awk {'print $6'}` 이렇게 해주시면 잘못 풀린 것들이 제거가 될 것입니다.
# 하드디스크 카피 dd if=/dev/sda of=/dev/sdb
NFS의 locking 문제 NFS는 locking 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곤 하는데, 이는 동일한 파일에 대해 서로 다른 서버가 write 요청을 할 때 발생한다. 동일한 파일로의 read 요청은 얼마든지 많아도 ( 물론 충분히 바쁜 서버들의 규모에서 ) 웹 서버쪽에서는 한번만 읽으면 되고, read 의 경우 어느 서버가 언제 가져가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서비스를 동일한 파일에 서로 다른 서버가 쓰기위해 접근하도록 설계 했다면, NFS 안쓰는게 낫다. 다르게 말하면 동일한 파일을 쓰지 않게만 설계 하면 NFS 서버의 Net I/O 및 Disk I/O 가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는 아주 좋은 동작 성능을 확보 할 수 있겠다.
debian network bonding http://www.debianhelp.co.uk/bonding.htm
Korean ProFTPd Reference 버젼 : v0.6 생성 : 2000.09.01 번역 : ProFTPd korea user group 변환 : reference_to_html.php3 v0.1 by 김정균 <admin@oops.org> 이 문서는 Korea User Group의 Project의 한 일편으로 작성 되어 졌다. ProFTPd Reference는 ProFTPd의 설정 파일에 사용이 되는 지시자들의 간략한 소개를 담고 있다. 이 문서에 대한 저작권은 CopyLeft에 따른다. 단 번역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조금은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 줬으면 하며, 조금의 도움이 될수 있게끔 행동을 해 주셨으면 한다. 길은 열려있다. ProFTPd에 대한 모든 한글 문서는 ProFTPd Korea user group 에서 볼수가 있다. <anonymous> <Directory> <Global> <Limit> <VirtualHost> AccessGrantMsg Allow AllowAll AllowChmod AllowFilter AllowForeignAddress AllowGroup AllowOve
wget http://dev.centos.org/centos/5/CentOS-Testing.repo mv CentOS-Testing.repo /etc/yum.repos.d/ yum --enablerepo=c5-testing update 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