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아이피 구하기 server_ip=`ifconfig | grep Bcast | sed -e 's/:/ /g' | awk '{print $3}'` echo $server_ip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귀하께서는 KTword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홈페이지의 용어해설 및 코딩, 테스트, 기술자료수집정리, 가이드북 집필 등을 위한 개인연구실 로 접속하셨습니다 !!! 정보통신용어검색 알파벳 검색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우리말 검색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최근수정이력 Welcome to KTword world !!! Copyrightⓒ since 2002 written by Cha Jae Bok (cjb@kt.com) 좋은 사이트가 있어 소개합니다. 용어정리가 잘되어 있네요 주소 : http://www.ktword.co.kr
qmail 첨부파일 용량 제한하기 /var/qmail/control/databytes 에 바이트 단위로 입력한다. 실제 첨부 가능 용량은 설정 용량의 70% 정도 된다. 설정 후 qmail 재시작 여기까지.
주요 로그파일들은 /var/log 라는 디렉토리에 기록된다. /var/log/maillog메일과 관련된 로그를 기록한다. 이 파일을 이용하여 메일이 오고간 시간, 호스트, 데몬, 유저, 크기 등을 확인 할수있다. /var/log/messages메일, 뉴스등을 제외한 전체적인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이다. /var/log/secure유저에대한 접속 정보를 기록한다. /var/log/lastlog계정 사용자들이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정보들을 기록한다.가록된 사항들은 lastlog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 할 수있다. /var/log/boot.log 부팅시 서비스 데몬들의 실행 상태를 기록하는 파일이다. /var/log/dmesg 시스템이 부팅할때 출력되는 메시지들이 기록된다. dmesg 명령어로 확인가능. /var/log/cron cron과 관련된 메시지들이 저장된다. 이 파일을 통해 예약한 작업이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 할 수있다. /var/log/wtmp 사용자들이 접속한 정보를 기록한다. 로그의 확인은 last명령어를 이용하여 전체접속정보를 확인가능.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하려면 'last 사용자명'을 입력한다. /var/log/xferlog FTP서버의
/etc/resolv.conf - 해당 호스트에서 인터넷상의 도메인을 찾아갈때 도메인주소로 질의하면 IP로 변환해주는 dns서버를 지정해주는 설정 파일이다.먼저 /etc/hosts에서 해당 도메인의 ip를 확인하고 없는 경우 resolv.conf에 지정된 dns서버에 도메인 네임을 물어본다. 리졸버란?-dns의 클라이언트이다.호스트 정보를 구하는 프로그램의 요청을 네임 서버에 대한 질의 형태로 확인하고 그 질의에 대한 응답을 프로그램에게 적절한 형태로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www.abcd.com/~kbs www.abcd.com/kbs ~ 없애려면 httpd.conf 파일에서 Alias /kbs/ "/home/www/kbs/" 추가
◎ hwclock : 하드웨어시간, 메인보드에 있는 CMOS의 시간(ROM-BIOS에서 인식하고 있는 시간)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간 둘다 재설정 가능 # hwclock -w : 운영체제 시간을 참조해서 하드웨어 시간 재설정 # hwclock -s : 하드웨어 시간을 참조해서 운영체제 시간 재설정 ◎ date : 리눅스시스템의 시간, 리눅스커널의 시간 * 소프트웨어 시간만 설정 가능 # date MMDDhhmmCCCC ※ 운영체제가 부팅시 마다 하드웨어의 시간을 가져와서 적용 ◎ rdate : 지정한 원격타임서버의 시간과 운영체제 시간을 동기화 # rdate -p time.bora.net : 시간값 확인 # rdate -s time.bora.net : 동기화 - 시스템 재부팅할 때마다 동기화 [/etc/rc.d/rc.local] /usr/bin/rdate -s time.bora.net /sbin/hwclock -w ◎ cron 으로 동기화 00 01 * * * su - root /usr/bin/rdate -s time.bora.net && /sbin/hwclock -w
chattr, lsattr 루트도 지우지 못하는 파일을 설정한다. chattr [옵션] [+=-속성] [파일명] [옵션] -V: 파일속성을 바꾼 다음에 보여줌 -R: 하위 디렉토리까지 재귀적으로 바꿈 [속성] a: 파일을 추가모드로만 열수 있다. 단, vi편집기로는 내용을 추가 할 수 없다. c: 압축되어 있는 상태로 저장함 d: dump명령을 통하여 백업받을 경우 백업받지 않음. i : 파일을 read-olny로만 열 수 있게 설정한다. 링크도 허용하지 않고 루트만이 이 속성를 제거할 수 있다. 속성를 추가 할때는 "+속성" 속성를 제거할 때는 "-속성" "=속성"를 사용할 경우 현재의 속성는 제거되고 오직 "=속성"로 설정된 속성만 적용된다. * lsattr 이라는 명령으로 파일의 chattr 속성를 확인할 수 있다. ---------------------------------------------------------------------- 예) file1에 i 속성를 추가할 때 chatr +i file1 예) 파일의 chattr 속성 확인 [root@ezvil log]# lsattr messages -----a------- messages 예) a 속
리눅스는 런레벨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런레벨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서비스가 시작된다. 0: 시스템 정지(예약영역) 1: 단일 사용자 모드(예약영역) 2: NFS를 사용하지 않는 다중 사용자 모드 3: 완전한 다중사용자 모드 4: 사용하지 않음 5: 완전한 다중 사용자모드 + X11(xdm) 로그인 6: 시스템 리부팅(예약영역) S,s: 런레벨을 1로 하는데 사용되는 스크립트-직접 사용하지 않음 7-9: 유효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런레벨은 init 에 의해 제어되며, init는 커널 부트 시퀀스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작된다. 디폴트 런레벨은 /etc/inittab 파일 안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 되어 있다. id:3:initdefault:
Dec 24 11:03:01 48s crond[13447]: (*system*) RELOAD (/etc/crontab) 1. 퍼미션 확인 chmod 600 /etc/crontab 퍼미션 수정 후 crond을 재시작 해준다
openssl req -new -x509 -days 3650 -sha1 -newkey rsa:2048 # 인증서확인openssl x509 -noout -modulus -in cert.crt | openssl sha1 # 개인키확인openssl rsa -noout -modulus -in privkey.pem | openssl sha1
grub 설정을 잘못하여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고 grub 콘솔 상태로 부팅되는 경우 해결방법 즉, grub 부트로더가 정상적으로 뜨지 않는 상태입니다. # 장애 상황 - 부팅시 grub 부트로더가 보이지 않고 grub 콘솔 상태가 바로 보임 # 해결방법 - grub 명령어를 통해 부팅하고, grub.conf를 수정하여 grub를 MBR에 재설치 한다. # grub 명령어 - cat : 파일 내용을 보여줌 - root : 부팅 이미지가 있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 kernel : 커널 이미지를 로딩 - initrd : 커널을 램디스크에 로딩 - boot : 부팅 시작 # 복구예 부팅 이미지가 있는 파일 시스템 마운트 root (hd0,0) 커널 이미지 로딩 kernel /vmlinuz-2.6.18-194.26.1.el5 ro root=/dev/sda2 커널을 램디스크에 로딩 initrd /initrd-2.6.18-194.26.1.el5.img 부팅 boot # 파일 시스템 마운트 설명 root (hd0,0) : 이 명령어는 첫번째 하드의 /dev/sda1 을 마운트 함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는 장치명이 1번부터 시작하지만 grub에서는 0부터 시작함 따라서